본문 바로가기
사회

[북한] 또 ! 서해 방향 탄도 미사일 발사 (2000년대 북한 도발 사례)

by 파인드굿뉴스 2025. 3. 10.
반응형

탄도미사일

2000년대 북한의 한국 도발 사례

목차 (TABLE OF CONTENTS)

1. 제2연평해전 (2002년)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근처에서 북한 경비정이 남측 해역을 침범하며 한국 해군 함정을 공격한 사건입니다. 이 전투로 인해 대한민국 해군은 피해를 입었고, 북한군도 상당한 피해를 보았습니다. 이 사건은 이후 서해 지역에서의 군사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원인 불명의 폭발로 침몰하였고, 승무원 104명 중 46명이 사망했습니다. 한국 정부와 다국적 조사단은 북한의 잠수함이 어뢰로 공격한 것이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렸으며, 이에 따라 남북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습니다.

3.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은 연평도를 향해 170여 발의 포격을 가했으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군도 즉각적인 반격을 가하며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4. 한국의 대응과 군사 전략 변화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방어 및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다양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 전략적 자산 배치: 한국군은 전투기와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증강하고, 한미 연합훈련을 강화했습니다.
  • 확전 방지 및 경고 사격: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대응 사격 지침이 수정되었습니다.
  • 군사적 억제력 강화: KAMD(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및 킬체인(선제 타격 체계) 구축을 본격화했습니다.
반응형